카테고리 없음

이원조 한국의 문학 평론가

기본기k 2020. 1. 10. 11:30

- 이원조 한국의 문학 평론가




태도의 문학에서 인민민주주의 민족문학론까지 그의 문학관을 확인할 수 있는 고석규 외 지음,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엮음, 2015년 7월 6일, 128*188mm, 문학평론, 이원조


비평무용론이 대두되던 시기 비평이 사라지면 문학도 퇴보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던 평론가 이원조. 태도의 문학에서 인민민주주의 민족문학론 이원조 평론선집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문학평론선집


이원조李源朝, 1909년 6월 2일 1955년?는 한국의 문학평론가이며 언론인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아호는 여천黎泉, 임목아林木兒이다. 시인 이육사의 친동생 이원조 문학 평론가





그의 작품 고향을 번역하여 한국내에 소개하였다. 1943년 어머니와 큰형의 소상을시집1946이 동생이자 문학평론가인 이원조에 의해 출간되었다. 이후 특집 시리즈 한국의 문인들 3 이육사 선생 사주요론


친일문학 임헌영 민족문제연구소 소장 / 문학평론가 1. 역사의 마중물로서의 문학이태준, 한설야, 이기영, 김사량, 이원조, 한효, 임화가 발언을 했는데, 임화는 민족문제연구소 민족의 죄인 모랄 부재의 친일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