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익재난고 이제현




익재난고 목록보기. 문집명 益齋亂藁; 저자 이제현李齊賢; 권수제卷首題 益齋亂藁; 판심제版心題 益齋集. 시리즈 한국문집총간 제2집; 간행처 한국고전번역원 익재난고益齋亂藁 한국문집총간 DB


그런데 겨울에 충선왕이 참소를 받아 유배됨으로써 자연히 이제현의 원나라 이제현의 저술로 현존하는 것은 『익재난고益齋亂藁』 10권과 『역옹패설』 2권이다. 이제현李齊賢





고전번역원 원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 고전의 향연 옛 선비들의 블로그 ⑩이제현 익재난고 전체 고전산책 사업성과 한국고전번역원 고전의 향연 옛 선비 공유 고전산책 고전의 향연옛 선비들의 블로그 ⑩이제현 익재난고




- 익재난고 전문




이제현李齊賢 익재난고益齋亂藁 해제 한국문집해제 .. 충목왕 2년1346 익재 60세 때, 그는 전문箋文을 올려 서연書筵 강설講說의 직임을 장달수의 한국학 카페 이제현李齊賢 익재난고益齋亂藁 해제


고려후기 학자 李齊賢의 시문집 목판본 益齋亂藁 10권 3책 일괄. 고려후기 학자 이제현의 시문집 목판본 익재난고 10권 3책 일괄. 이전물품 다음물품. 확대보기 고려후기 학자 李齊賢의 시문집 목판본 益齋亂藁


역옹패설櫟翁稗說은 1342년충혜왕 복위 3년 역옹櫟翁 이제현이 저술한 시화집詩話集이다 현재 전하고 있는 역옹패설은 초간본은 아니며, 1814순조 4년년 후손들에 의하여 간행된 익재난고益齋亂藁에 수록된 것이다. 목판본 4권 1책 누락된 검색어 전문 역옹패설





서정록西征錄을 남겼고, 현재 익재난고益齋亂藁 문집 속에 전해온다. 하지만 익재활약이나 그가 남긴 방대한 기록에 비해 전문 연구는 여전히 미미한 편이라고 고려 청년 이제현, 두보초당까지 어떻게 갔을까 쓰촨성 청두成都


이해, 익재난고이제현 가 고려 후기의 문인 이제현은 당시당시는 고려 후기를 가리킬 것이기에, 당시에는 우리말을 적을 수 있는 한글이 아직 만들어 수특 적용 갈래복합01 0104 소악부의 이해, 익재난고이제현




- 익재난고 소악부




소악부라는 이름으로 이제현과 민사평이 남긴 한시 17편은 속악가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제현의 소악부는 익재난고益齋亂藁 권4에 11편이 전하고, 고려조 소악부


고려가요로 원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고려사 악지樂志에 제목과 간단한 내용이 언급되어 있고, 또 이제현李齊賢의 익재난고益齋亂藁 중 소악부小 거사련


이제현의 소악부 11편은 모두 『익재난고』권4에 실려 전하는데 앞의 9수는 소악부라는 제목으로 전하고, 뒤의 2편은 민사평에게도 소악부를 지어 보라고 권하는 소 소악부 이제현 장암 고려 익재난고 최근





속악高麗俗樂 <처용가>의 일부와 배경설화를 참작하여 의역하였다. ≪익재난고≫ 소악부의 <장암가 長巖歌>·<거사련 居士戀>·<제위보 濟危寶>·<사리화 계명대학교 / 보물1893호 ■■ 익재난고 권67 / 1432년경 / 계명대학교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