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고승전 김대문




2447호 2015년 2월 12일 발행 신라의 두 엘리트 집단 여성구가 뽑아 옮긴 김대문·각훈의 ≪화랑세기花郞世紀/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천줄읽기≫. 신라의 엘리트 화랑세기/해동고승전 천줄읽기


김대문金大問, ??은 신라의 진골 귀족으로, 문장가이며 관료이자 학자이기도 하다. 화랑세기 삼국사기 권46의 열전에는 그의 저서로 계림잡전, 한산기漢山記, 고승전高僧傳, 악본樂本, 화랑세기 등이 나열되어 있으나, 현재 김대문


그의 저서 중 고승전과 화랑세기는 각각 이름난 승려와 화랑들의 전기다. 김대문 이후 신라에서는 전기물들이 많이 쏟아져 나왔는데, 예를 들면 김장 김대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또 최남선의 신라수이전의 약해에서도 “김대문의계림잡전·고승전·악본·화랑세기·한산기등은 고려 중엽까지 담 김대문과 그의 저술활동


살펴봄으로써 고대의 불교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승려들의 전기로는 김대문이 지은 ≪고승전≫이 있었다고 전하나, 현재 남아 있지 않다. 다만 고려 시대에 각훈이 502. 화랑세기 / 해동고승전 김대문, 각훈




- 고승전 구마라집




2005. 7. 10. 답글 2개고승전高僧傳☆. 석혜교釋慧皎 지음 추만호 번역. 제2권▷역경譯經② ◁. ▣1 구마라집鳩滅什. 구마라집鳩滅什은 중국말로 동수童壽라 고승전高僧傳 제2권▷역경譯經② ◁1 구마라집


구마라집鳩摩羅什은 중국말로 동수童壽라 하며 천축국天竺國 사람이다. 집안 대대로 나라의 재상宰相을 지냈다. 구마라집의 조부祖父 구마 석가모니불 고승전 제2권 1 구마라집鳩摩羅什





자료출처근거고승전高僧傳 석혜교釋慧皎지음 추만호 번역 제2권 역경譯經/구마라집鳩摩羅什 ​ ​ 우리가 현재 읽고있는 경전의 대다수가 구마라집의 한역경전 법화경 범어원문도 구마라집이 한역하여 옮겨놓았다.


가운데 가장 널리 읽히는 한역경전이 구마라집 스님의 〈금강경〉. 우리나라 불자들이셈이다. 〈출삼장기집〉이나〈고승전〉에 의하면 위대한 역경승이자 서역 제일 구마라집




- 고승전 혜교




당나라 도선道宣 스님이 찬술한 고승전기 속고승전續高僧傳 1, 2권 속고승전은 양나라 혜교慧皎 스님이 지은 고승전에 이어서 양나라 불교언론동국역경원, 속고승전 등 출간


양고승전 제 1권 팔만대장경, 불교경전, 부처님가르침. 석혜교釋慧皎 지음. 추만호 번역. 1. 역경譯經 ①. 1 섭마등攝摩騰. 섭마등은 본래 중천 양고승전 제 1권


고승전高僧傳은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 고승들의 전기집으로 최초로 편찬된 것은 중국 남북조南北朝 시대 남조南朝 양梁나라502557의 승려 혜교 東洋古典解題集 동양고전해제집





명名자 대신에 덕이 높음을 뜻하는 고高자를 처음 쓴 것은 혜교慧皎의『고승전高僧傳』이다. 이 뒤로는 고승전이라는 명칭이 점점 일반적으로 자리 고승전高僧傳 해제 3, 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